융합형 세포배양지지체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세포배양지지체
(3D 바이오 프린팅 기술)
기술문의 : 유현진 / 070-4367-4914 / brown@designgoth.com
3D 프린팅 기술은 의료기술 시장으로 확대되어 3D 바이오 프린팅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.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은 SF영화에서 처럼 환자에게 맞춤형으로 인공 피부 및 장기를 만들어 주는 첨단 기술입니다.
인공 장기 및 피부가 필요한 환자에게 맞춤형 치료로 활용 가치가 아주 높은 기술로 미래의 대세가 될 것입니다.
3D 바이오 프린팅 기술을 3D PRINTING을 활용해 각막, 간, 피부, 혈관 등을 생성해 인간에게 이식하는 기술을 말 합니다.
일정 기간이 지나면 분해되는 인체 무해한 세포배양 지자체를 3D 바이오 프린팅 기술로 제조하는 장치를 개발합니다.
환자에게 이식된 지지체를 기반으로 세포가 형성되어 보다 원활한 치료와 빠른 회복이 가능합니다.
향후 인공 조직 및 장기까지도 제조하여 다양한 분야로 확대, 개발 할 수 있습니다.
디자인 형식
3D BIO Printing 기기의 활용 목적에 따라 치료용 / 연구용으로 구분 가능. |
---|
1. 치료 목적 : 치과-안과-외과 분야의 병원 및 전문 센터, 기공소 등 의료기기 제조업체에서 주로 사용. |
2. 연구 목적 : 대학, 임상시험센터 등의 연구소 외, 화장품·제약업체에서 활용이 가능 |
사용자와 환경의 공간 활용에 따른 3D BIO PRINTING기 디자인 다양하게 제시. |
디자인 활용성(예시)
치료용 일반 · 상급 종합병원 / 치과병원 / 기공소 / 의료기기 제조업체 |
||||
---|---|---|---|---|
환자 | 의사 | 의사 / 기공사 | 의사 | 환자 |
MRI X-ray CT촬영 |
촬영물 3D 그래픽화 | 재료선택(소재 및 세포) 3D 프린팅 진행 냉장보관 |
출력물 이식 |
연구용 제약업체 / 화장품업체 / 의과대학 / 기타 임상시험센터 |
||||
---|---|---|---|---|
연구 대상자 / 부위 | 연구원 | 연구 대상자 / 부위 | ||
연구 및 임상실험(피부용품 / 신약 개발) |